중학교‧고등학교,2학기부터 과도한 수행평가 부담 해소한다!

앞으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수행평가의 취지를 보다 잘 살릴 수 있도록
수행평가 운영 방식을 올해 2학기부터 개선합니다.

수행평가는 암기 위주 지필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 능력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수행평가의 시행 횟수가 많거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등
학습 부담을 우려하는 현장 목소리가 있어, 교육부는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를
회복하고 학생들의 과도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두 가지 방향의 대책을 우선 추진하고자 합니다.

첫째, 모든 수행평가는 수업시간 내에 이루어진다는 원칙을 철저히 적용합니다.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해 학습 부담 유발 요인을 스스로 개선하고,
시도교육청은 매 학기 시작 전 모든 학교의 평가 계획을 면밀히 점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부모의 도움 등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수행평가’와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 등
수행평가 원칙에 벗어난 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합니다.

둘째, 수행평가 운영에 대한 현장 안내를 실시합니다.
7~8월 중 시도교육청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의 도입 취지, 평가 운영 관련 규정과 유의 사항 등을 안내합니다.

아울러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의 협의를 통해
수행평가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개선 요구를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관련 지침을 개정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완화하고,
평가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유도해 나가고자 합니다.
수행평가는 단순한 시험을 넘어서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는
교육의 중요한 과정입니다.
학교가 수업과 평가의 본래 목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길 바래봅니다. :)
[참고] 교육부 보도자료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3671&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